bit가 눈 앞에서 왔다갔다

뮤직플레이어 개발(1) | 191104 본문

프로젝트_교내/2019-2 오픈소스 개발프로젝트

뮤직플레이어 개발(1) | 191104

헬린인형 2019. 11. 4. 16:04

중간고사 전까지는 Java를 배우고 예제를 실습하는 것이 바탕이었다면, 중간고사 이후엔 랜덤으로 팀을 뽑아 각자 개발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우리 팀은 1팀(;;)이고, 개발자 협업 프로그램에서 개선점을 찾아 개발하자 등등 각종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으나, 아직 할 수 있는게 그렇게 많지 않아 크게 어렵지 않지만, Java 실력을 키우면서 다양한 것을 경험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뮤직플레이어 개발을 주제로 잡았다.

 

UML

첫시간에 제출한 제안서를 바탕으로 교수님과 각 팀별로 어떻게 진행할 예정인지, 어떤 방식으로 개발할 것인지 등을 면담했다. 교수님께서 DB는 꼭 써야한다고 신신당부하셨고! (우리는 아무도 DB를 할 줄 모른다...) 교수님의 이야기를 토대로 팀 회의를 정리했다.

시장조사 : 좀 더 꼼꼼히 해볼 것을 요구하셨음.

DB : 생성(C), 조회(R), 업데이트(U), 삭제(D)

UI : 음악 플레이어 특성상 UI는 딱히 많이 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여짐

팀 내 회의 결과 UI는 같이 생각해보는 것으로 이야기 되었다.

역할분담 : (UML기준)ㅎㅅㄱ- 보기/ ㅇㅈㅎ- 음악파일/ 김예원- 조절

역할분담은 이루어졌지만 개발은 애자일 방법론 기반으로 하기로. (서로 어느정도 하고 도와주기 가능)

협업도구 : 버전관리 - Github(Repository: https://github.com/yewon918/musicplayer.git ), 대화 - 카카오톡

소스코드는 Repository를 생성한 뒤, Collaborator로 같은 팀원을 지정했다.

Collarborator를 지정하면 지정된 Collarborator 모두 자유롭게 push, pull 등이 가능하다.

 

첫시간에 제출했던 제안서 계속 버전관리 하면서 업데이트하고 마지막에 제출하라하실때 최종적으로 제출하는 것으로.

교수님께서 과목 특성상 오픈소스를 활용해야하긴 하지만, 일단 최대한 자기 힘으로 해볼 것을 요구하셨다.

실력을 생각하면 맞는 말씀이지만, 개발이 다들 처음이고 뮤직플레이어의 기본적인 틀 등을 보려면 Github를 좀 확인하게 될 것 같다.

(+javax.swing 패키지 사용)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