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가 눈 앞에서 왔다갔다

2시까지 과제하고 쓰는 일기 | 피드백 | 2019.10.7-8 본문

소웨일기

2시까지 과제하고 쓰는 일기 | 피드백 | 2019.10.7-8

헬린인형 2019. 10. 8. 02:42

나는 삼촌한테 약간 낚여서 소프트웨어학과에 왔다.

입시철, 수학을 걱정하던 나에게 "너는 그래도 수학 많이 안할껄?? 괜찮을거야"라고 하셨다.

컴퓨터교육과였던 삼촌 말을 나는 순수하게 믿었다. (나는 너무 순수한것 같다★)

그리고 나는 저번주에 "수학 못하면 컴퓨터 하지 마세요"라는 말을 들었다

^_^

아마 삼촌은 임고 준비하면 되셨었으니까 컴퓨터 쪽 수학을 많이 안하셨을지도..?

그래도 낚인 기분이다.

어른들 말은 믿으면 안된다.

 

 

[*오늘의 뻘짓_ 다시는 이런 짓 안하길 바라며]

혼자 낑얼낑얼 과제하다가 499줄 짜리 소스를 짰다. ; 잘한건가...? 비효율적인건가,, 시간을 아껴서 공부를 했어야했나...?

-datanum변수에 값 대입 안해줘놓고선 "파라미터에 값이 안넘어와!!!!!"하고 한숨 쉬고 난리쳤었다.

-주석이 왜 존재할까? 프로그래머가 보라고 존재하는거겠지? 그러니까 주석 좀 잘 활용 좀,,,

아예 메모장을 켜서 변수 하나하나 어디서 어떻게 써먹히는지 적어야하나

-배열에 인덱스도 하나 틀렸다. 아 제발,, ->segmentation fault (동방에서 튀어다닌 날을 기억하며..)

-클래스 생성자를 전역변수로 빼주면 편한데, 전역변수 쓰지 말라는 1학년 시절의 교수님 신신당부에 전역변수는 절대 쓰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전역변수는 생각도 안한 것 같다 -> 융통성!

-merge 구현 이상한 짓

1. partition을 통해 merge를 부를 땐, 인덱스를 계산하면서 여러번 부른다. 근데 merge 안에 질문을 넣으면...ㅎ

-> 짜기전에 간단하게 개요만 짰었는데, 좀 함수 내부 개요 같은 것도 더 디테일하게 해야할 듯

-> 소스가 길어지니까 정신없어서 헷갈려서 막 쓴 것 같다. ㅇㅋ 그럴수 있찌

2. i>mid 부분

여러번 반복, 어차피 윗 소스에 크게 영향받지 않으니까! 미리 해줘도 무관!

-> merge sort 구현할때 소스 하나하나가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있는지, 어떻게 써먹을 수 있는지 더 생각하면서 ㄱㄱ

 

[그래도 현실에 감사하기]

-같이 동방에서, 긱사에서 고생할 친구들이 있다

-이번엔 압박감 많이 안느꼈고 걱정 많이 안했다

-도와줄 선배, 친구들이 있었다

-힘들면 힘들다고 같이 말할 사람들이 있다

-그와중에 개웃김ㅋㅋㅋㅋㅋㅋ드립치면 받아주는 아이들^^

-하나님이 날 항상 지켜보고 계신다

-어쨌든 다 했다..

-아 알아서 되겠지 뭐

 

이제 기억 안난당

배고프니까 빨리 자고 내일 지원동생이 사준 비타오백(박카스??) 먹어야징(

이도희가 준 바나나우유도 먹어야징

(한 달 전 껄 지금에서야...)

먹을게 많아서 행복하다...

 

반응형
Comments